부 동 산 ( 아 파 트 )/주간 브리핑 (21) 썸네일형 리스트형 `21.10.25 기준, 매매/전세 시세 동향 및 주간 이슈 (KB통계) KB통계는 매주 금요일에 업로드되고 있는건 다들 아시죠? 그리고 KB통계는 해당 주의 통계가 올라오는 것이 아니라 업로드 날짜 기준으로 1주일 이전의 통계 데이터가 올라옵니다. 그래서 1주일 느린 데이터라고 볼 수 있어요. 현장의 실시간 시황이 아니라는 점만 제외하고 의미있는 데이터가 굉장히 많답니다. 오늘도 어김없이 `21.10.25기준 지난 1주일동안의 시세 변화를 살펴보려고 합니다. 아래 표에서 색깔로 표시된 지역은 2주연속 상승이 높은 지역입니다. 인천과 안산의 상승세가 지속 유지되고 있네요. 인천의 상승세가 여전히 높습니다. 최근 인천의 중구와 동구의 상승세가 눈에 띄네요. 이곳들은 인천 전통의 구도심들이지요. 최근 재개발/재건축 및 제3연육교 이슈로 중구의 시세가 가파르게 오르고 있습니다. 동.. `21.10.18 기준, 매매/전세 시세 동향 및 주간 이슈 (KB통계) KB에서 매주 주간/월간 단위로 통계자료를 공지하고 있습니다. 이 자료들은 모든 사람들이 열람 가능하고 많은 사람들이 이 자료를 활용해서 부동산 투자의 참고자료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지난 주말동안 kb통계자료를 활용해서 아래 그림 처럼 주간, 월간, 년간 단위로 시세(매매/전세) 변화률을 확인 할 수 있도록 엑셀자료를 만들었고 시세흐름의 촉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 매일 매일 변화율을 보고 각 지역별 흐름을 체크하고 있습니다. 재미있는 점은 연도별로 상승을 주도했던 지역이 가지각색이었다는 것입니다. 먼저 주간 매매/전세 상승률 기준으로 지역별 시황을 먼저 알아보고 년간 상승률이 높은 지역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 보겠습니다. 최근 10/18일 주간 시세변화를 봐도 오산시가 상승순위에서 4위에 .. [매매 / 전세 증감률] 10/18 주간 자료 KB부동산에서 매주 KB통계자료를 업로드 하고 있는건 알고 계시죠? 보다 의미있고 시세변화가 한눈에 들어오도록 지도로 표현하였습니다. 이거 어디서 많이 봤다 싶으신분들도 많이 계실꺼에요. 부동산 연구원이면서 투자 전문가이신 빠숑 김학열님께서 아래와 같은 지도로 시세변화를 매주 체크하고 계시더라구요. 지금까지 시세변화를 시도별 그래프를 그려가면서 확인하고 있었는데, 도시별 비교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물론 KB부동산의 통계자료에도 요약정보가 있지만 전국의 시세변화를 지속적으로 체크하기에는 부족한게 사실입니다. 그래서 빠숑님 자료를 벤치마킹하여 통계자료의 raw data를 바탕으로 지도를 만들어보았습니다. (5시간동안 매달렸....) 매주 시세변화와 1개월 / 3개월 / 6개월 / 1년 / 3년 / 5년 /.. 나는 대한민국에서 오징어게임을 하고 있다 최근 넷플릭스에서 핫한 대한민국 드라마가 있습니다. 오징어 게임, 대한민국의 사회의 불평등과 빈부격차를 잘 그려냈고, 극단적 선택 없이는 부의 사다리에 올라탈 수 없다는 게 본 드라마의 메시지이지요. 아파트는 주거의 안정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 안정성이 무너지고 있고, 무너지는 시나리오가 오징어게임과 매우 닮아 있어 씁쓸한 구석이 많기도 합니다. 오징어 게임의 구성을 현 대한민국 아파트 시장과 비교해보면 이렇습니다. 항목 오징어게임 대한민국 게임의 주최자 오일남 대통... 게임의 중간관리자 프론트맨 정부 게임의 말단관리자 진행요원 국토교통부 게임참가자 성기훈, 조상우, 강새벽, 장덕수, 한미녀 등 총 456명 무주택자, 1주택자 (다주택자 일부) 게임을 강요한적이 없다는 오일.. 평범한 무주택자가 서울 아파트를 사는 현실적인 방법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월세 살고, 내 자본금은 하루도 쉬지 말고 일하게 하자" 입니다. 서울의 무주택자들의 대부분은 오른 전세금을 주지못하고 서울에서 밀려나고 있습니다. 최근 부동산 뉴스 기사를 보면 전세대란, 전세매물 씨가 말랐다, 전세금 최대폭 상승, 깡통전세 등 내용들을 많이 접했을 거에요. 전세금액의 상승폭이 너무커서 매매가격이 오히려 저렴해보이기도합니다. 그래도 일반 서민들이 서울아파트를 구매하기에는 현실적으로 많이 힘들죠. 2017년만하더라도 서울의 아파트가격은 평균 5~6억원이었고, 전세가격은 4억중후반대였습니다. 전세가격의 40%정도는 자기 자본이 들어가있는거지요. 지금 서울 아파트 중위가격이 10억을 넘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4~5년전 전세로 살고 있던 사람들이 내집마련을 빨리 했다면 정.. 이전 1 2 3 다음